국토부, 제3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 확대로 드론기술 상용화 박차
- 등록일
- 2025-07-31
- 조회수
- 27
- 국토교통부, 제3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을 지정하며 전국 67개 구역으로 확대
- 비행 승인 등 6종 규제를 면제하거나 간소화해 실제 환경에서 드론 실증 가능
- 110여 개 드론 기업이 배송, 산불 감시, 수질관리 등 전국 곳곳에서 진행 예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하늘 위를 누비는 미래 산업, 드론과 관련된 흥미로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국토교통부가 ‘제3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을 신규 지정하며 드론 산업의 실증과 상용화를 위한 발판을 더욱 넓혔습니다!
지자체 관리 아래 드론 비행 테스트 가능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은 드론 비행에 필요한 비행승인, 특별비행승인, 안전성 인증 등 비행 규제 6종을 면제하거나 간소화해 주는 제도입니다. 지자체가 안전관리를 전제로 드론 비행을 허용해 주는 건데요. 즉, 기업이 복잡한 절차 없이 실제 환경에서 드론을 자유롭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규제 샌드박스 같은 제도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제3차 지정에서는 총 32개 지자체, 67개 구역으로 대폭 확대되어 전국적으로 드론 실증 환경이 대폭 강화됩니다.
드론 군집 기술, 안전 모니터링 등 실증 성과
지난 1·2차 지정으로 ▲태안, 군집 드론 라이트쇼 기술 고도화 ▲인천·포천·서산, 드론 배송 서비스 실증 ▲제주·울산, 지역 축제 안전 모니터링 ▲경주, 국가유산 보호를 위한 드론 감시 ▲전주, 침수지역 모니터링 ▲광주, 수소연료 기반 드론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증 성과를 거둔 바 있습니다.
이처럼 각 지역에서 비행규제를 완화해 우수 드론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고 있으며 드론 기업의 상업화 기반을 마련하고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더 넓은 곳에서 다양한 드론 기술 시험 가능
이번 제3차 지정에서는 기존 제 1·2차 지정으로 운영되던 23개 지자체, 47개 구역에서 광주북구, 전남공군의 2개 구역을 추가 지정했습니다. 또한 신규 9개 지자체가 운영할 18개 구역을 지정해 총 20개 구역이 새롭게 추가됐습니다. 이로써 전국의 도심, 해양, 산림, 농촌 등 다양한 환경 속에서 드론 실증이 가능해진 것이죠.
아울러 110여 개 이상의 드론 기업들이 장거리·고하중 드론 배송, 산불 감시 및 진압, 하천 수질관리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영역에서 드론 기술을 시험하고 발전시킬 예정입니다. 이는 단순한 기술개발을 넘어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상용화까지 연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위 글과 관련된 콘텐츠를
더 보고 싶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