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무인비행체를 위한 3D 공중도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ogo 유무인비행체를 위한 3D 공중도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WIPO 기술분류

    기구 > 기구제어

  • 표준산업분류

    기타 전기장비 제조업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건설/교통 > 항공교통기술

  • 지식재산권 상태

    등록

  • 출원일/등록일

    2019-12-20   /   2020-04-03

  • 거래유형

    양도/실시권설정 모두가능

  • 기술료 조건

    협의 후 결정

특허정보 바로가기

요약
유무인비행체를 위한 3D 공중도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유무인비행체를 위한 3D 공중도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유무인비행체의 출발지와 목적지가 입력되면, 사전에 생성된 3D 공중도로 네트워크에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를 적용하여 3D 최적 경로(Way Point)를 하나 이상 산출하는 최적 경로 산출부와, 산출된 하나 이상의 3D 최적 경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3D 공중도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대표청구항
유무인비행체를 위한 3D 공중도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유무인비행체의 출발지와 목적지가 입력되면, 사전에 생성된 3D 공중도로 네트워크에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를 적용하여 3D 최적 경로(Way Point)를 하나 이상 산출하는 최적 경로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하나 이상의 3D 최적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3D 공중도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3D 공중도로 네트워크는, 지역의 공간 정보 항목 별로 공중도로 적합도가 설정된 수평 공중도로 네트워크와, 상기 지역에 위치하는 지형 지물의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격자기반 3D 장애물 지도를 이용하여 생성된 수직 공중도로 네트워크를 결합하여 상기 지역의 상공을 다수의 육면체의 입체 격자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입체 격자들의 중심점인 노드들과 상기 노드들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최대 26개의 링크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링크에는 상기 공중도로 적합도가 높을수록 높은 가중치가 설정되고, 링크가 두 가지 이상의 토지이용항목에 걸쳐 있을 경우, 링크의 길이에 따라 비례하는 가중치가 설정되고, 상기 격자기반 3D 장애물 지도는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에 상기 유무인비행체의 비행에 장애가 되는 모든 지형 지물이 추가된 지도이며, 상기 최적 경로 산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가 입력되면, 출발지와 가장 근접한 노드를 출발 노드로 정하고, 목적지와 가장 근접한 노드를 목적 노드로 정한 후, 출발 노드의 주변에 있는 최대 26개의 링크들의 가중치와 최단 비행경로를 고려하여 상기 링크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3D 최적 경로를 산출하는 경로 산출부; 상기 3D 공중도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상기 지역에 동적 장애물이 발생하면, 상기 동적 장애물의 위치를 기준으로 공중도로를 폐쇄할 폐쇄 반경과 폐쇄 시간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하는 동적 장애물 설정부; 상기 설정된 폐쇄 반경 및 폐쇄 시간과 상기 유무인비행체의 3D 최적 경로 간의 간섭 여부를 판단하는 간섭 판단부; 및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유무인비행체의 우회 도로를 산출하는 우회도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공중도로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