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중전달 방지가 가능한 벽식구조물의 비내력벽 내진보강구조

logo 하중전달 방지가 가능한 벽식구조물의 비내력벽 내진보강구조
  • WIPO 기술분류

    기타 > 토목공학

  • 표준산업분류

    건설업, 건축기술서비스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건설/교통 > 시설물설계/해석기술

  • 지식재산권 상태

    등록

  • 출원일/등록일

    2020-11-25   /   2020-12-04

  • 거래유형

    양도/실시권설정 모두가능

  • 기술료 조건

    협의 후 결정

특허정보 바로가기

요약
본 발명에 따른 하중전달 방지가 가능한 벽식구조물의 비내력벽 내진보강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비내력벽을 사전 제작 후 벽식구조물에 적용함으로써, 비내력벽의 균일한 품질의 현장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비내력벽 구조물이 PC구조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PC 비내력벽 구조물을 단순히 교체만 하면 되므로 피해 발생 후 보수보강이 용이하고, 보수보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이격연결수단을 통하여 구조벽체와 이격되게 구성함으로써, 비내력벽구조물의 자체의 균열을 억제하고 내진성능을 확보 및 향상시킴으로써 지진하중 발생 시 연결철물로 인한 비내력벽 및 구조벽체의 균열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대표청구항
상부 바닥슬래브와 하부 바닥슬래브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구조벽체 사이에 형성된 비내력벽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하중전달 방지가 가능한 벽식구조물의 비내력벽 내진보강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폭과 너비를 갖는 벽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비내력벽 구조물과; 상기 비내력벽 구조물과 상기 상부 바닥슬래브와 상기 하부 바닥슬래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비내력벽 설치공간에 상기 비내력벽 구조물을 설치하되, 상기 비내력벽 구조물의 양측면이, 상기 구조벽체의 측면에 대하여 설정된 이격거리에 따라 이격되게 설치하는 이격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격연결수단은, 일측은 상기 비내력벽 구조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상부 바닥슬래브와 상기 하부 바닥슬래브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비내력벽 구조물이 상기 상부 바닥슬래브와 상기 하부 바닥슬래브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비내력벽 구조물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이격연결수단은, 일측은 상기 비내력벽 구조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상부 바닥슬래브와 상기 하부 바닥슬래브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비내력벽 구조물이 상기 상부 바닥슬래브와 상기 하부 바닥슬래브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전달 방지가 가능한 벽식구조물의 비내력벽 내진보강구조.

첨부파일
  • [SMK] 하중전달 방지가 가능한 벽식구조물의 비내력벽 내진보강구조.pdf(856 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