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기술연구원
커넥티드 차량을 이용한 도로 파손 정보 제공 장치 및 도로 파손 판정 모델 생성 서버
-
WIPO 기술분류
전기 > 컴퓨터기술
-
표준산업분류
컴퓨터 프로그래밍, 정보서비스업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건설/교통 > 시설물안전/유지관리기술
-
지식재산권 상태
등록
-
출원일/등록일
2018-11-1 / 2019-09-24
-
거래유형
양도/실시권설정 모두가능
-
기술료 조건
협의 후 결정
- 요약
- 커넥티드 차량을 이용한 도로 파손 정보 제공 장치 및 도로 파손 판정 모델 생성 서버가 제공된다. 도로 파손 정보 제공 장치의 카메라부는 차량에 장착되어 주행 중인 도로를 촬영하여 도로 노면 영상을 출력하고, 위치 센싱부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메모리는 사전에 딥러닝 기반으로 학습된 도로 파손 판정 모델을 저장하고, 제어부는 저장된 도로 파손 판정 모델을 실행하여, 카메라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도로 노면 영상을 도로 파손 판정 모델에 입력하여 도로 파손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로 파손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로 파손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과 위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 대표청구항
- 차량에 장착되어 주행 중인 도로를 촬영하여 도로 노면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센싱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도로 노면 영상을 가로선으로 3등분한 후 아래 1/3 영역에 해당하는 분석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분석 영역 중 정해진 위치에 해당하는 관심 영역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관심 영역을 상기 도로 파손 판정 모델의 입력데이터로 정하는 영상 처리부; 사전에 딥러닝 기반으로 학습된 도로 파손 판정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도로 파손 판정 모델을 실행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도로 노면 영상 중 관심 영역을 상기 도로 파손 판정 모델에 입력하여 도로 파손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도로 파손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도로 파손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과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앞면과 가장 근접한 도로의 노면부터 주행 방향을 따라 촬영하도록 설치되되, 촬영된 영상 내의 도로 표면 수평선의 소실점이 상기 도로 노면 영상의 2/3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 차량을 이용한 도로 파손 정보 제공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