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정형 보강부재를 이용한 긴급보강공법
-
WIPO 기술분류
기타 > 토목공학
-
표준산업분류
건설업, 건축기술서비스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건설/교통 > 건설시공/재료
-
지식재산권 상태
등록
-
출원일/등록일
2017-04-27 / 2019-07-11
-
거래유형
협의후 결정
-
기술료 조건
협의 후 결정
- 요약
- 본 발명은 섬유 재질의 그물 구조로 형성된 그물주머니(11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그물주머니(110)의 트임부를 통해 조골재(120)를 충전하고, 상기 그물주머니(110)의 트임부에 인양고리(210)를 결합하여 폐쇄하고, 상기 인양고리(210)에 고정핀(220)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비정형 보강부재 제조단계; 긴급보강이 필요한 손상부에 대하여, 다수의 상기 비정형 보강부재(100)를 축조하여 보강하는 비정형 보강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보강부재를 이용한 긴급보강공법을 제시함으로써, 긴급한 사면복구 및 보강공사가 가능하고, 공사 후 재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 대표청구항
- 섬유 재질의 그물 구조로 형성된 그물주머니(11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그물주머니(110)의 트임부를 통해 조골재(120)를 충전하고, 상기 그물주머니(110)의 트임부에 인양고리(210)를 결합하여 폐쇄하고, 상기 인양고리(210)에 고정핀(220)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비정형 보강부재 제조단계; 긴급보강이 필요한 손상부에 대하여, 다수의 상기 비정형 보강부재(100)를 축조하여 보강하는 비정형 보강부재 설치단계; 축조된 다수의 상기 비정형 보강부재(100)의 공극에 대하여 추가로 시멘트 페이스트를 충전하는 단계; 축조된 다수의 상기 비정형 보강부재(100)의 표면에 대하여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골재(120)는, 쇄석 50 ~ 99 중량%; 순환골재 또는 슬래그골재 1 ~ 5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인양고리(210)는, 하나의 봉 부재의 절곡에 의해 형성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산부(211); 상기 중앙산부(211)의 양측에 형성된 골부(212); 상기 골부(212)의 양측에 상향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경사부(213); 상기 경사부(213)의 양측에 형성된 고리부(214);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220)은, 하나의 봉 부재의 절곡에 의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형성된 전방만곡부(221); 상기 전방만곡부(221)의 양측에 형성된 후방만곡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220)의 전방만곡부(221)가 상기 인양고리(210)의 중앙산부(211)의 전방에 접촉하고, 상기 고정핀(220)의 후방만곡부(222)가 상기 인양고리(210)의 고리부(214)의 후방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인양고리(210)와 상기 고정핀(220)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보강부재를 이용한 긴급보강공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