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logo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 WIPO 기술분류

    기구 > 측정

  • 표준산업분류

    측정, 시험, 향해, 제어, 및 기타 정밀기기 제조업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건설/교통 > 시설물안전/유지관리기술

  • 지식재산권 상태

    등록

  • 출원일/등록일

    2018-11-05   /   2019-06-26

  • 거래유형

    실시권설정만 가능

  • 기술료 조건

    협의 후 결정

특허정보 바로가기

요약
고무차륜 경량전철(AGT) 시공시, 가이던스레일의 횡단경사량, 궤간 및 주행로와의 높이차, 주행로의 수준, 주행로의 간격 등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무차륜 경량전철(AGT)의 가이던스레일 및 주행로의 유지관리 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주행로와 가이던스레일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인력식 검측장치로서, 하나의 검측장치로 고무차륜 AGT용 가이던스레일의 경사량과 높이 및 궤간을 측정할 수 있고, 주행로의 수준차이와 횡단경사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검측장치의 각 부재를 구성하는 재질을 경량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검측원 1인이 현장에서 용이하게 이동 및 조작할 수 있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이 제공된다.
대표청구항
콘크리트 패널(110) 상에 주행로(120L, 120R) 및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이 형성된 고무차륜 경량전철(AGT)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의 궤간 및 주행로(120L, 120R)의 중심간격 측정을 위해서 주행로(120L, 120R) 상면에 배치되는 수평부재(210); 좌측 가이던스레일(130L)의 높이와 경사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수평부재(210)의 좌측 단부에 상기 수평부재(210)와 직각으로 결합되는 좌측 수직부재(220a); 우측 가이던스레일(130R)의 높이와 경사량을 상기 수평부재(210)의 우측 단부에 상기 수평부재(210)와 직각으로 결합되는 우측 수직부재(220b); 상기 가이던스레일(130L, 130R) 간의 거리인 궤간을 측정하도록 몸체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로서, 상기 수평부재(210) 및 우측 수직부재(220b)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딩부재(230); 주행로(120L, 120R) 수준차이인 캔트(Cant)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평부재(210) 상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 주행로(120L, 120R) 수준차이인 캔트(Cant)를 측정하도록 상기 수준측정용 수직부재(240)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수준측정용 수평기(260); 및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에 장착되어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의 수평 여부를 확인하는 수평계(270)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재(210)를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양쪽에 거치한 상태에서 가이던스레일(130L, 130R)과 주행로(120L, 120R)를 동시에 측정하며, 상기 수평계(270)는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횡단경사량(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수평기(260)에 부착되고, 상기 주행로(120L, 120R)의 횡단경사량 측정을 위해 상기 수평계(27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나사(273)와 수평판(272)이 상기 수준측정용 수평기(26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경량전철용 가이던스레일과 주행로 검측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