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O 기술분류 기타 > 토목공학
- 표준산업분류 건설업, 건축기술서비스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건설/교통 > 건설시공/재료
- 지식재산권 상태 등록
- 출원일/등록일 2017-06-22 / 2018-09-07
- 거래유형 양도/실시권설정 모두가능
- 기술료 조건 30백만 원
케이블 보강 차량 방호울타리 및 이에 사용되는 턴버클을 이용하여 케이블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방법
-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요약
- 본원발명은 턴버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원발명은 차량 방호울타리에 적용되는 턴버클과 그 턴버클을 이용한 긴장력 도입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바디 회전체와 상기 바디 회전체의 양측에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수나사 연결 볼트와 제2 수나사 연결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회전체의 양 끝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 회전체가 회전되면 상기 제1 수나사 연결 볼트 및 제2 수나사 연결 볼트가 상기 바디 회전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고정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수나사 연결 볼트는 그 내측에 빈 공간인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회전체 내부 끝단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형 연결 볼트이며, 상기 제1 수나사 연결 볼트는 상기 제2 수나사 연결 볼트의 중공부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바디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수나사 연결 볼트가 상기 제2 수나사 연결 볼트에 삽입되어 상기 턴버클에 의하여 인장되는 와이어로프의 변위를 키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단축형 턴버클을 제공하여, 턴버클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와이어로프의 일체성을 증진시키고, 차량 방호울타리에 적용할 때 차량 충돌부가 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한편으로, 본원발명은 도로안전시설, 특히 차량방호 안전시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방호 안전시설 중 차량 방호울타리를 보강하여 거시적으로는 더 나은 도로 환경을 조성하고, 세부적으로는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공학적 거동이 우수한) 차량 방호울타리를 보강하는 방법 또는 보강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2개 이상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전면부 쪽으로 연속하여 길게 고정되는 보(beam)를 포함하는 보형 방호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보의 후면에 케이블이 추가로 배치되어 차량 충돌 시 상기 보의 변형과 장력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의 장력으로도 차량 충돌 에너지를 소산시키되, 상기 케이블을 압착력으로 상기 가드레일에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를 제공하여, 가드레일의 배면에 케이블을 적절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압착판 등을 통하여 고정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바람직한 케이블에 의한 충격 에너지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 대표청구항
- 2개 이상의 지주, 상기 지주의 전면부 쪽으로 연속하여 길게 고정되는 보(beam) 및 상기 보의 후면에 배치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차량 충돌 시 상기 보의 변형과 장력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의 장력으로도 차량 충돌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차량 방호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보는 파형 단면의 굴곡부를 가지는 가드레일이고, 상기 케이블을 압착력으로 상기 가드레일에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드레일의 겹 붙임 구간에 앞 구간 가드레일과 뒤 구간 가드레일은 연결 볼트와 연결 너트로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가드레일의 파형 단면의 굴곡부의 굴곡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 장치는 상기 케이블을 상기 가드레일의 굴곡부에서 고정하며, 상기 케이블은 턴버클에 의하여 긴장력이 도입되되, 상기 턴버클은 바디 회전체와 상기 바디 회전체의 양측에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수나사 연결 볼트와 제2 수나사 연결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회전체의 양 끝단에는 상기 바디 회전체가 회전되면 상기 제1 수나사 연결 볼트 및 제2 수나사 연결 볼트가 상기 바디 회전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고정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 회전체의 몸체는, 개방부가 길게 형성된 긴 막대 형태의 연결 바(bar)를 가지는 슬리브 형태이어서, 상기 개방부에 강봉의 한 쪽을 넣어 지렛대의 받침대와 같이 상기 연결 바가 걸리도록 한 후 상기 강봉을 상기 바디 회전체를 축으로 회전시켜 상기 바디 회전체도 상기 연결 바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하되, 상기 개방부는 3개 이상이 형성되어 상기 가드레일의 파형(波形) 단면의 굴곡부의 굴곡 내측에서 상기 턴버클이 가드레일에 붙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강봉을 넣어 지렛대 작용이 가능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 장치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완만하게 구부러진 철판인 궁형 내측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완만하게 구부러진 궁형 내측 고정판의 굴곡부는 상기 가드레일의 내측 굴곡부에 대응하여 고정되되, 상기 궁형 내측 고정판의 굽은 부분은 반지름(R)이 상기 가드레일 내측면이 형성하는 반지름(R)보다 커 완만하게 형성된 굴곡부를 만들어 보강하는 케이블을 완만하게 형성된 굴곡부에 고정하며, 상기 궁형 내측 고정판의 후면에 케이블을 두고 추가로 압착판을 덧댄 후 상기 연결 너트로 상기 가드레일 배면, 상기 궁형 내측 고정판 및 상기 압착판을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궁형 내측 고정판과 상기 압착판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가드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 고정 장치는 상기 케이블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압착 조절 수단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의 압착 정도가 결정되어, 상기 케이블에 충격 에너지가 전달될 때 상기 케이블 고정 장치와 끝단 지주에 상기 충격 에너지를 배분하되, 상기 압착 조절 수단으로서, 상기 압착판은 상기 연결 볼트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멍이 위아래에 대칭인 구조이되, 가드레일의 굴곡부와 대응하여 활과 같이 휜 형태이면서, 상하부에는 직선 구간인 눌림부가 형성되고, 케이블에 접하는 부분은 케이블에 대응하여 케이블을 감쌀 수 있도록 반대로 완만하게 휜 형태이며, 상기 압착판이 상기 가드레일의 굴곡부에 대응하여 굽어진 초기 각도는 상기 가드레일의 굽어진 각도보다 큰 각이어서, 상기 가드레일에 상기 압착판을 대면 그 내측으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케이블이 배치되며, 상기 연결 너트가 조여져, 압착판의 상하부 직선 구간인 눌림부는 상기 내측 고정판에 밀착되고, 상기 케이블 압축부가 상기 케이블을 감싸는 형태로 형태 변형이 발생하여 압착판의 길이를 증가(ΔP)시키고, 상기 길이 증가는 압착판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상기 압착판에는 인장력(T)이 발생되고, 상기 인장력에 의하여 케이블에 대한 압착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방호울타리.
문의 및 상담신청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