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O 기술분류 기타 > 토목공학
- 표준산업분류 건설업, 건축기술서비스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건설/교통 > 국토공간개발기술
- 지식재산권 상태 등록
- 출원일/등록일 2015-01-23 / 2016-08-02
- 거래유형 양도/실시권설정 모두가능
- 기술료 조건 10백만 원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요약
-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의 파손이나 훼손없이 상향으로 굽힘변위량을 인가시킬 수 있고, 정착지점에서 긴장재의 배치 방향성이 자동 조절되고, 보의 규격에 대응하기 용이하도록 한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 시스템은, 서로 대향된 H형강 보에 지지 설치된 데크플레이트 본체의 처짐을 긴장재로 제어하기 위한 긴장재 정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 본체의 상향 개구되어 있는 콘크리트 채움골 2개소에 볼트로 접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강봉 지지판과, 한 쌍의 강봉 지지판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강봉연결용 걸쇠와, 대향하는 상기 강봉연결용 걸쇠에 양단이 끼움되어 걸침되어 있는 긴장재지점용 강봉이 데크플레이트의 상향지점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H형강 보의 상부플랜지에는 상기 긴장재의 배치 방향을 따라 스스로 방향이 조절되어 긴장재를 정착시키는 긴장재 정착브라켓이 조립 결합되고; 상기 긴장재는 양단이 상기 긴장재 정착브라켓측에 연결 긴장되고 동시에 나머지 구간에서 2개소에 설치된 상기 긴장재지점용 강봉의 하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승지지력이 발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 대표청구항
- 서로 대향된 H형강 보(5와 5)에 지지 설치된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처짐을 긴장재(40)로 제어하기 위한 긴장재 정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 본체(10)의 상향 개구되어 있는 콘크리트 채움골(12) 2개소에 볼트로 접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강봉 지지판(20,20)과, 한 쌍의 강봉 지지판(20,20)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강봉연결용 걸쇠(22,22)와, 대향하는 상기 강봉연결용 걸쇠(22와 22)에 양단이 끼움되어 걸침되어 있는 긴장재지점용 강봉(24)이 데크플레이트의 상향지점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H형강 보(5)의 상부플랜지에는 상기 긴장재(40)의 배치 방향을 따라 스스로 방향이 조절되어 긴장재(40)를 정착시키는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이 조립 결합되고; 상기 긴장재(40)는 양단이 상기 긴장재 정착브라켓(30)측에 연결 긴장되고 동시에 나머지 구간에서 2개소에 설치된 상기 긴장재지점용 강봉(24)의 하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승지지력이 발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긴장재 정착브라켓(30)은, 상기 H형강 보(5)의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부 정착판(31)과; 상기 상부 정착판(3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고 상부 정착판(31)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H형강 보(5)의 상부플랜지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부 걸림판(32)과; 상기 상부 정착판(31)과 하부 걸림판(32)의 후단을 연결하는 볼트 체결수단(33)과; 상기 상부 정착판(31)의 상면에 대향되게 입설된 한 쌍의 정착수직판(34,34)과; 상기 정착수직판(34,34)에 연결되어 있는 정착블록 지지판(35)과; 상기 정착판(31)과 걸림판(32)의 사이에 개재되어 볼트 체결수단(33)에 결합된 스페이서(3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착블록 지지판(35)은, 양단이 상기 정착수직판(34,34)에 힌지핀(36)으로 연결되어 긴장재(40)의 긴장 배치 방향을 따라 입설 각도가 자동 조절된 후, 힌지핀(36)은 상기 정착수직판(34,34)에 용접으로 접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문의 및 상담신청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