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기술거래목록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logo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
  • WIPO 기술분류 기타 > 토목공학
  • 표준산업분류 건설업, 건축기술서비스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건설/교통 > 건설시공/재료
  • 지식재산권 상태 등록
  • 출원일/등록일 2018-11-09   /   2021-01-05
  • 거래유형 실시권설정만 가능
  • 기술료 조건 협의 후 결정

요약
본 발명은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회구간, 경사구간 및 선회경사구간이 주를 이루는 산악철도용 선로의 시공을 위해 프리캐스트 공법을 적용하고, 탄성충진재를 흐름성이 서로 다른 두 종류로 배합하여 2차에 걸쳐 타설함으로써 급구배 또는 급경사 지역에서도 매립형 선로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표청구항
산악철도용 선로가 설치될 지면을 정리한 후 콘크리트 기층(HSB)을 시공하는 콘크리트 기층 시공단계와, 프리캐스트에 의해 제조되고, 랙설치홈과 레일설치홈 사이에 아래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양 측부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는 궤도패널을 콘크리트 기층 상에 설치하는 궤도패널 설치단계와, 설치된 궤도패널의 상부에 랙을 설치하는 랙 설치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기층과 궤도패널의 사이에 베딩재를 주입하는 베딩재 시공단계와, 상기 궤도패널을 통해 콘크리트 기층에 전단앵커를 설치하는 전단앵커 설치단계와, 상기 궤도패널의 상부에 한 쌍의 레일을 각각 설치하는 레일 설치단계와, 상기 레일설치단계 이후 궤도패널, 랙 및 레일의 설치 상태를 정하고, 궤간게이지를 이용하여 레일의 궤간, 슬랙 및 캔트를 측정하는 1차 검측단계와, 상기 레일이 설치된 궤도패널의 상부에 탄성충진재를 시공하는 탄성충진재 시공단계 및 상기 탄성충진재 시공단계 이후 시공이 완료된 선로의 설치상태를 최종적으로 점검하는 최종 검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콘크리트 기층 시공단계는, 산악철도용 선로가 설치될 지면 중 선로의 시점부에 블록아웃(Block out) 시공을 통해 콘크리트 기층의 긴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블록아웃부를 형성시키고, 선로가 설치될 지점에 성토 및 다짐 작업을 수행하는 블록아웃 및 성토단계와, 상기 성토부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제1거푸집을 설치하는 제1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제1거푸집이 설치된 성토부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층을 형성시키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기층 상부에 치핑(chipping) 작업을 한 후 양생시키는 치핑 및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충진재 시공단계는, 탄성충진재가 주입되는 궤도패널 상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표면처리 및 건조단계와, 건조된 궤도패널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와, 탄성충진재가 주입될 위치에 중공의 관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 설치하여 고정시키는 중공관 설치단계와, 탄성충진재가 외부로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칸막이를 설치하는 칸막이 설치단계와, 상기 궤도패널의 상부에 탄성충진재를 타설하는 탄성충진재 타설단계 및 타설된 탄성충진재의 상단면을 고르게 면처리한 후 양생시키는 면처리 및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충진재 타설단계는, 궤도패널의 상면에 제1탄성충진재를 타설하는 1차 타설단계와, 상기 제1탄성충진재의 상부에 제2탄성충진재를 타설하는 2차 타설단계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2탄성충진재는 제1탄성충진재에 비해 점성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

문의 및 상담신청 팝업닫기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 *필수입력

  • 기관명*
  • 담당자명*
  • 휴대폰번호*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기업지원허브는 다음의 목적을 위해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수집한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될 시에는 사전동의를 구할 예정입니다.
수집항목 수집목적 보유기간
기관명, 담당자명, 휴대폰번호, 이메일주소 문의 및 상담신청 수집일로부터 1년
※ 이용자는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필수항목에 대한 수집 및 이용 동의를 거부할 경우에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