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O 기술분류 기타 > 토목공학
- 표준산업분류 특수 기계 제조업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에너지/자원 > 자원탐사/개발/활용
- 지식재산권 상태 등록
- 출원일/등록일 2020-06-26 / 2020-12-01
- 거래유형 양도/실시권설정 모두가능
- 기술료 조건 협의 후 결정
지하회수법(SAGD)에 적용되는 인젝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요약
-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주입정 및 생산정에 롤러들이 연결되어 지면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한 인젝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션 연결구조는, 인젝션 연결구조는 오일샌드에 포함된 비투멘을 채굴하는 것으로, 상하부로 연장된 파이프형태로 지면에 매립되는 제1 수직파이프 및 상기 제1 수직파이프로부터 지표면과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을 포함하는 주입정 및 상하부로 연장된 파이프 형태로 상기 제1 수직파이프에 인접한 위치에서 지면에 매립되는 제2 수직파이프 및 상기 제2 수직파이프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을 포함하는 생산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 각각의 외측면에서 나선 형태로 연장되는 보강재를 포함한다.
- 대표청구항
- 오일샌드에 포함된 비투멘을 채굴하는 인젝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로 연장된 파이프형태로 지면에 매립되는 제1 수직파이프 및 상기 제1 수직파이프의 하부에서 지표면과 수평한 제1 방향(1)으로 연장되며 서로 연결되어 오일샌드에 삽입되는 제1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을 포함하는 주입정; 및 상하부로 연장된 파이프 형태로 상기 제1 수직파이프에 인접한 위치에서 지면에 매립된 제2 수직파이프 및 상기 제2 수직파이프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연결되는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을 포함하는 생산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 각각의 외측면에서 나선 형태로 연장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 각각의 외측면을 나선 형태로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일단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의 일측을 둘러싸는 아치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와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의 타측을 둘러싸는 아치형태로 형성되어 일단부와 결합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를 둘러싸며 상기 제1 또는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들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510) 및 상기 클램프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롤러(520)들을 구비하는 센터 고정용 지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롤러(520)는 브라켓(521) 및 휠(522)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521)은 서스펜션(530)과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서스펜션(530)은 연결로드(531), 브라켓(532) 및 스프링(53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로드(531)는 상기 클램프(510)에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532)은 상기 클램프(510)에 제1 방향(1)쪽으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스프링(533)은 상기 클램프(510)에 제2 방향(2)쪽에 설치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플렉서블 파이프가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휠(522)이 제2 방향(2)쪽으로 굽혀지며 탄성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연결구조.
문의 및 상담신청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