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O 기술분류 전기 > 컴퓨터기술
- 표준산업분류 건설업, 건축기술서비스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건설/교통 > 건설시공/재료
- 지식재산권 상태 등록
- 출원일/등록일 2019-11-26 / 2020-09-02
- 거래유형 양도/실시권설정 모두가능
- 기술료 조건 협의 후 결정
BIM 모델을 이용한 3D 프린팅 설계 및 시공방법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요약
- 본 발명은 BIM 모델 이용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1) 상기 BIM 모델의 수정 및 검토 단계; (2) 수정 및 검토된 BIM 확정 모델의 객체 분리 단계; (3) 분리된 상기 객체 중 3D 프린팅 가능 부재 선별 단계; (4) 상기 3D 프린팅 가능 부재의 3D 프린팅 출력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 모델을 이용한 3D 프린팅 설계 및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 대표청구항
- 저장모듈, 입력모듈, 분석모듈, 출력모듈을 구비한 컴퓨터상에서 전용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BIM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1)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상기 BIM 모델의 수정 및 검토 단계; (2) 상기 분석모듈에서 수행되는 수정 및 검토된 BIM 확정 모델의 객체 분리 단계; (3) 상기 입력모듈과 상기 분석모듈에서 수행되는 분리된 상기 객체 중 3D 프린팅 가능 부재 선별 단계; (4) 상기 출력모듈에서 수행되는 상기 3D 프린팅 가능 부재의 3D 프린팅 출력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1) 단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기존에 생성된 상기 BIM 모델을 불러오거나, 상기 BIM 모델이 없다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용 구조체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BIM 확정 모델을 모델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3) 단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기울기가 심한 수직부재 또는 수평부재와 같은 3D 프린팅 불가능 부재를 제외하고 상기 3D 프린팅 가능 부재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3) 단계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조해석이 필요한 구조재와 구조해석이 불필요한 비구조재를 구분하여 상기 3D 프린팅 가능 부재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4) 단계는, (4-1) 3D 프린팅 장비 선별 단계; (4-2) 선별된 상기 3D 프린팅 장비의 가용 성능에 따른 상기 3D 프린팅 가능 부재의 분할 및 프린팅 순서 설정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4-3) 상기 3D 프린팅 가능 부재의 인필(infill) 라이브러리 선택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인필(infill) 라이브러리는 중앙스트럿(30)과 상기 중앙스트럿(30)에 연결되는 사선스트럿(20)으로 구성되며, 상기 (4-3) 단계에서 구조체 내부에 요구되는 강도 및 두께를 포함한 설계조건에 맞추어 상기 중앙스트럿(30)과 상기 사선스트럿(20)의 개수 및 두께를 선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 모델을 이용한 3D 프린팅 설계 및 시공방법.
문의 및 상담신청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