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O 기술분류 전기 > 컴퓨터기술
- 표준산업분류 컴퓨터 프로그래밍, 정보서비스업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건설/교통 > 건설시공/재료
- 지식재산권 상태 등록
- 출원일/등록일 2020-11-04 / 2021-10-05
- 거래유형 양도/실시권설정 모두가능
- 기술료 조건 협의 후 결정
도심지 건설현장을 위한 미세먼지 스마트 감시시스템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요약
- 본 발명은 도심지 건설현장의 미세먼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먼지측정장치(10)가 설치된 미세먼지측정드론(100); 상기 미세먼지측정장치(10)가 감지한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는 현장운용시스템(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현장운용시스템(200)은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상기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건설현장을 위한 미세먼지 스마트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미세먼지측정드론(100)은, GIS 및 GPS를 사용하여 3차원 위치정보를 상기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와 연동하여 상기 현장운용시스템(2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건설현장을 위한 미세먼지 스마트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3차원 위치정보는, 위도와 경도 그리고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건설현장을 위한 미세먼지 스마트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며, 물분사 기능이 있는 워터포그분사드론(300);이 추가로 구성되어, 상기 현장운용시스템(200)이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상기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넘어 미세먼지 저감이 필요한 곳을 상기 워터포그분사드론(300)에 전송하고, 상기 워터포그분사드론(300)이 상기 미세먼지 저감이 필요한 곳에 물분사하여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건설현장을 위한 미세먼지 스마트 감시시스템을 제공한다.
- 대표청구항
- 도심지 건설현장의 미세먼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먼지측정장치(10)가 설치된 미세먼지측정드론(100); 및 상기 미세먼지측정장치(10)가 감지한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는 현장운용시스템(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현장운용시스템(200)은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상기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미세먼지측정드론(100)은, GIS 및 GPS를 사용하여 3차원 위치정보를 상기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와 연동하여 상기 현장운용시스템(2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3차원 위치정보는, 위도와 경도 그리고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미세먼지측정드론(100)은, GPS 또는 기압계 또는 자이로스코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물분사 기능이 있는 워터포그분사드론(300);이 추가로 구성되어, 상기 현장운용시스템(200)이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상기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넘어 미세먼지 저감이 필요한 곳을 상기 워터포그분사드론(300)에 전송하고, 상기 워터포그분사드론(300)이 상기 미세먼지 저감이 필요한 곳에 물분사하여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물분사를 마친 곳에 상기 미세먼지측정드론(100)이 재투입되어, 상기 미세먼지측정드론(100)이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재수집하고 상기 현장운용시스템(2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현장운용시스템(200)과 연동된 평가시스템(400)이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평가시스템(400)은 전용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상기 현장운용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물분사 전후의 상기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는 단순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범위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3차원 위치정보는 미리 설정된 측정간격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기 현장운용시스템(200)으로 전송되고, 상기 현장운용시스템(200)은 상기 미세먼지측정드론(100)에서 상기 현장운용시스템(200)으로 전송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평가하여 상기 워터포그분사드론(300)에 최종 위치를 전송하며, 상기 건설현장 주변의 기존 지형고도 데이터와 현장 지형고도 데이터가 시간차로 인하여 다를 경우, 상기 건설현장의 바닥 지형 고도 데이터를 별도로 입력하여 적용하고, 상기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와 상기 3차원 위치정보는 시간을 매개로 연동되되, 상기 시간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가장 인접한 시간의 발생 정보로 가정하며, 미세먼지보다 물이 무거우므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미세먼지측정드론(100)의 미세먼지측정 위치 보다 워터포그분사드론(300)의 물분사 위치가 위에 위치해야 하며, 미세먼지가 타 구역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풍향 및 온도를 포함한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가벼운 미세먼지의 이동방향을 미리 차단하는 위치에 물분사하고, 상기 미세먼지측정드론(100)의 상기 3차원 위치정보는 일정 간격으로 공간을 분할하여 고정 크기의 정보를 활용하므로 드론 운영시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겹침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며, 상기 워터포그분사드론(300)의 물분사 범위의 설정은 상기 미세먼지측정드론(100)을 중심으로 육면체 또는 구를 상기 전용어플리케이션 사용시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건설현장을 위한 미세먼지 스마트 감시시스템.
문의 및 상담신청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