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탈면을 보강할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수평제어와 하중재하와 근접배면토사부 다짐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시공장치 및 이에 의한 보강토 옹벽시공방법

logo 비탈면을 보강할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수평제어와 하중재하와 근접배면토사부 다짐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시공장치 및 이에 의한 보강토 옹벽시공방법
  • WIPO 기술분류

    기타 > 토목공학

  • 표준산업분류

    건설업, 건축기술서비스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건설/교통 > 건설시공/재료

  • 지식재산권 상태

    등록

  • 출원일/등록일

    2021-10-28   /   2022-01-10

  • 거래유형

    양도/실시권설정 모두가능

  • 기술료 조건

    협의 후 결정

특허정보 바로가기

요약
본 발명은 기초부를 구축하고 그 위에 최하부 옹벽블록을 설치하며, 최하부 옹벽블록 위에 추가적인 옹벽블록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보강토 옹벽을 구축함에 있어서, 센서를 이용하여 옹벽블록의 자세를 제어함으로써 옹벽블록이 설계 내용에 맞추어서 정확하고 정밀하게 수평을 이루면서 배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연직하중을 가하여 기초부의 지반에 선(先)하중을 재하함으로써, 보강토 옹벽의 구축 동안에 또는 구축 완료된 후에 실제로 가해지는 연직하중으로 인하여 지반의 침하를 사전에 미리 발생하게 만들므로써 보강토 옹벽의 침하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옹벽블록의 배면에 근접하여 채워진 배면토사부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다짐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보강토 옹벽의 견고성 및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비탈면을 보강할 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수평제어와 하중재하와 근접 배면토사부 다짐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표청구항
블록 승하강 장치와 이동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이동지지 장치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지지판에는 근접 배면토사부를 가압하여 다짐하는 다짐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블록 승하강 장치는,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궤도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궤도판과, 상기 궤도판에 결합되어 연직하향으로 연장된 센서-인식표 설치봉과, 연직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며 상단은 궤도를 따라 수평방향 이동가능하도록 궤도판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신축가압부재와, 각각의 신축가압부재 하단에 구비되며 옹벽블록에 밀착되는 밀착지그를 포함하고; 블록 승하강 장치의 궤도판은 이동지지 장치의 지지판에 종방향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기초부와 지지판이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기초부가 지지판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옹벽블록이 궤도판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신축가압부재가 신장되어 밀착지그가 옹벽블록에 밀착되며, 궤도를 따라 각각의 신축가압부재가 수평이동되어 각각의 밀착지그가 옹벽블록에 밀착되면서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옹벽블록이 밀착지그 및 신축가압부재에 의해 물려서 체결되고; 신축가압부재의 수축에 의해 옹벽블록이 상승된 상태에서, 궤도판이 지지판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옹벽블록이 기설치 인접블록에 이웃한 위치의 연직 상방에 위치한 후, 신축가압부재가 신장되어 옹벽블록을 기초부 또는 아래 층의 옹벽블록 위로 하강시켜서 기설치 인접블록에 이웃하게 설치하게 되고; 다짐부재는 지지판에 결합되는 결합설치부재와, 상기 결합설치부재에 결합 설치되어 연직하향으로 신축하면서 다짐 가압력을 발휘하는 가압신축부재와, 상기 가압신축부재의 하부에 결합 설치되며 근접 배면토사부의 상면에 밀착되어 근접 배면토사부를 직접 가압하게 되는 다짐 가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옹벽블록 후방의 근접 배면토사부에 대한 다짐이 필요할 때에는, 근접 배면토사부의 다짐 필요 위치의 연직 위쪽에 다짐부재가 위치한 상태에서, 다짐 가압판을 근접 배면토사부의 상면에 밀착시키고 가압신축부재를 신축 작동시켜서 다짐 가압판을 통해서 근접 배면토사부에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다짐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공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