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국토교통 기업지원 허브

기술·기업 체험기
우수 R&D 및 기업 신기술체험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 R&D ,신기술로
대한민국을 선도합니다.
영화가 현실이 되다! 초고속 열차 ‘하이퍼루프’
  • 2021-12-10
  • 일상 속 국토교통기술
  • 기업명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하이퍼루프 이미지 

오늘은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에 도착할 수 있는 초고속철도인 ‘하이퍼루프’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01 ‘맨인블랙: 인터내셔널’에 등장한 하이퍼루프

영화 ‘맨인블랙’ 보셨나요? 검은 선글라스와 재킷 차림의 외계인 감시요원(MIB)들이 불법 거주 외계인을 막아 지구의 평화를 지켜내는 줄거리를 가진, 상상 속 외계인을 구체적으로 그려낸 영화인데요. 2019년에 상영한 ‘맨인블랙 : 인터내셔널’에서는 전작에서 뉴욕을 배경으로 활약하던 요원들이 전세계로 활동반경을 넓힌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세계 곳곳에 분포한 외계인들을 상대하려면 빠른 이동은 필수인데요. 그래서 영화속 MIB 요원들은, 오늘 소개하는 하이퍼루프를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에이전트M은 뉴욕 본부에서 런던지부로 파견될 때, 공항이 아닌 지하로 내려가는데요. 하이퍼루프를 타고 순식간에 뉴욕에서 런던으로 이동합니다.

01 ‘맨인블랙: 인터내셔널’에 등장한 하이퍼루프

영화 ‘맨인블랙’ 보셨나요? 검은 선글라스와 재킷 차림의 외계인 감시요원(MIB)들이 불법 거주 외계인을 막아 지구의 평화를 지켜내는 줄거리를 가진, 상상 속 외계인을 구체적으로 그려낸 영화인데요. 2019년에 상영한 ‘맨인블랙 : 인터내셔널’에서는 전작에서 뉴욕을 배경으로 활약하던 요원들이 전세계로 활동반경을 넓힌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세계 곳곳에 분포한 외계인들을 상대하려면 빠른 이동은 필수인데요. 그래서 영화속 MIB 요원들은, 오늘 소개하는 하이퍼루프를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에이전트M은 뉴욕 본부에서 런던지부로 파견될 때, 공항이 아닌 지하로 내려가는데요. 하이퍼루프를 타고 순식간에 뉴욕에서 런던으로 이동합니다.


02 시행주행에 성공한 하이퍼루프

그동안 하이퍼루프는 공상과학에 불과하다고 여겨졌는데요. 2020년 10월 미국 라스베이거스 인근 네바다 사막의 실험터널에서 7년 만에 시험주행에 성공하는 성과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테스트 단계라 거리는 500m에 불과했고, 속도는 음속의 1/7 수준인 172km/h 에 불과했는데요. 그래도 하이퍼루프가 소설이나 영화에서만이 아닌, 실제 세계에서 구현 가능한 기술이라는 것을 증명하는데 성공했습니다.

 

02 시행주행에 성공한 하이퍼루프

그동안 하이퍼루프는 공상과학에 불과하다고 여겨졌는데요. 2020년 10월 미국 라스베이거스 인근 네바다 사막의 실험터널에서 7년 만에 시험주행에 성공하는 성과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테스트 단계라 거리는 500m에 불과했고, 속도는 음속의 1/7 수준인 172km/h 에 불과했는데요. 그래도 하이퍼루프가 소설이나 영화에서만이 아닌, 실제 세계에서 구현 가능한 기술이라는 것을 증명하는데 성공했습니다.  


03 우리나라에 도입된다면? 서울-부산 20분??!

하이퍼루프가 우리나라에 도입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하이퍼루프는 완전 밀폐된 터널식의 진공 튜브 안에서 팟으로 불리는 캡슐 형태의 고속열차를 발사해서 사람이나 물품을 실어나르는 형식의 고속열차인데요. 팟이 발사되면, 열차와 튜브 사이 고압의 공기를 이용한 공기베어링이 형성됩니다. 차량을 공중에 띄워서 움직이기 때문에 시속 1,200km의 속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론상 서울에서 출발해 부산까지 20분 만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하이퍼루프44 


04 하이퍼루프는 지금 경쟁중

만약 미국에서 하이퍼루프를 상용화하면 차량으로 5시간, 비행기로 1시간 걸리는 뉴욕과 워싱턴DC의 구간을 30분 만에 이동할 수 있는데요. 하이퍼루프는 선로가 없어서 탈선의 우려가 없고, 루프 건설비용이 철도 건설비보다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진공상태의 캡슐 속에서 운행하기 때문에 날씨나 자연재해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데요. 대신에 튜브가 밀폐되어 있고, 무인주행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운행 중 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처가 원할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 각국이 하이퍼루프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경쟁을 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8년 전 세계 최초로 1kg 미만의 모형 운송체를 700km/h까지 가속하는데 성공하는 등 세계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이퍼루프 상용화를 위해서는 긴 튜브를 진공에 가까운 상태로 계속 유지해야하는 기술적 숙제, 고속으로 달리는 열차의 안정성 확보, 진공 상태의 대기압 문제, 칸트로비츠 한계 등을 극복해야하는데요. 하이퍼루프를 통해 서울-부산이 1시간 생활권이 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전세계는 지금?
하이퍼루프 경쟁중 

목록